Experimental browser for the Atmosphere
Loading post...
{ "uri": "at://did:plc:nuofjsu4xeu4mt4bwl23zfqx/app.bsky.feed.like/3lk4eq4hmc426", "cid": "bafyreihx724xcz6ksqcaljg4fxayspsmj7ulkk5h76feuiambswwxzir2m", "value": { "$type": "app.bsky.feed.like", "subject": { "cid": "bafyreiekcq2hk7a4t6yjpmzveiu4c2lt5vrenh7msrtekznhauip74ik64", "uri": "at://did:plc:2ermfcbaegg5nbj3kgsc4heu/app.bsky.feed.post/3lk4ehukatk2e" }, "createdAt": "2025-03-11T15:23:35.759Z" } }
TMI긴 한데 Navier-Stokes 방정식의 action principle(Schwinger-Keldysh type action을 배제하면 현재까지도 열린 문제로 남아있음)에 대해 찾아보게 된 계기가 이 장이었다. ‘Navier-Stokes 방정식의 정확한 해를 못 구하더라도 근사해를 구하는 데 least action principle을 쓸 수 있지 않을까?‘란 동기에서 인터넷을 뒤적거리기 시작했고 ‘그런거 없음‘이란 결론만 나왔지…
Mar 11, 2025, 3:18 PM